브라질 리우 그란지 두 술 주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발생함에 따라, 브라질산 닭고기 및 관련 제품의 수입이 중단되고 있다.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여러 국가들이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수입 금지를 발표했으며, 한국도 브라질산 가금 제품의 전면 금지 조치를 내렸다. 세계 최대의 닭고기 수출국인 브라질의 수출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황이 지속될 경우 기업과 소비자 모두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브라질 농림축산부는 16일 히우그란지두술주 몬치네그루 지역의 상업용 가금류 사육 시설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브라질에서 HPAI가 처음으로 사육 가금농장에서 발생한 사례이다. 조류 인플루엔자의 첫 보고는 2023년 5월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야생조류에서만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전세계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의 위험성을 높이고 있으며, 각국 정부가 보건 안전 차원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HPAI 발생이 확인된 브라질의 상황은 국제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닭고기 수출국이며, 이러한 질병이 발생한 경우 그 피해는 막대할 수 있다. 특히, 닭고기 및 관련 제품의 수출에 의존하는 수많은 브라질의 농가와 기업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브라질 정부는 HPAI의 확산 방지를 위해 비상 조치를 취하고 있다. 몬치네그루 지역의 가금류 농장에서는 즉각적인 방역 조치가 내려졌으며, 추가적인 감염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수출 중단 확대 및 각국의 대응
브라질산 닭고기, 식용란, 살아 있는 조류 등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는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여러 국가에서 일제히 내려졌다. 이들 국가는 HPAI의 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는 브라질산 농산물의 주요 수출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멕시코 농림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브라질 당국에서 HPAI 발생 사실을 통보 받았다"며 "추가 정보가 들어올 때까지 이번 조치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또한 브라질산 종란, 식용란, 초생추, 가금육 및 가금생산물의 전면 수입 금지를 발표하였다. 브라질은 이에 따라 한국과의 수출입 조건에 따라 닭고기 수출을 60일 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방역 조치는 국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다른 나라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과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 역시 중단된 상황이며, 일본의 경우 HPAI 발생 지역과 인근에서 생산된 제품에 한해 수입 제한 조치를 지속하고 있다. 이는 일본과의 협약에 따른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HPAI 사례와 관련된 제품에 대해 철저한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브라질의 경제적 영향 및 향후 전망
브라질은 현재 전 세계 최대의 닭고기 수출국으로, 2023년 기준 151개국과 교역하고 있으며, 중국, 아랍에미리트, 일본 등 주요 국가가 주요 수출 시장이다. 그러나 HPAI 발생으로 인해 닭고기 및 관련 제품의 수출이 중단되고 있어, 브라질 농가와 기업에는 재정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AP통신에 따르면, 올해 들어 미국의 달걀 수출이 1000% 이상 증가했으나, 브라질의 상황으로 인해 미국 내 달걀 공급이 어떻게 변화할지는 미지수다.
브라질 농민과 생산자들은 조류 인플루엔자가 장기화 될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HPAI의 확산이 전 세계 식품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지켜봐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브라질 정부는 HPAI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농가 규모의 방역 체계 개선과 함께,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상 계획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책 및 방역 조치가 식품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에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한 국제 신뢰도를 회복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브라질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브라질산 닭고기 및 관련 제품 수입을 중단하고 있다. 이는 브라질의 농업과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각국의 적극적인 방역 조치가 필요하다. 앞으로의 상황에 주목하며, 브라질 정부와 농업계를 비롯한 국민 모두가 위기 극복을 위해 협력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